본문 바로가기
핀랜드, 러시아, 몽골,

자작나무숲 / 러시아

by *상록수 2022. 7. 8.

 

                                              자작나무 숲

 

                                  시인 백석(1912~1995)이 1938년 함경남도 함주에서 쓴

                                 〈백화(白樺)〉란 시를 읽어보면, 산골집은 대들보도 기둥도

                                  문살도 자작나무다, 밤이면 캥캥 여우가 우는 山도 자작나무다,

                                  그 맛있는 메밀국수를 삶는 장작도 자작나무다,

 

                                  러시아를 여행하다 보면 어느곳엘 가나 자작나무숲을 쉽게 볼수 있다, 

                                  자작나무는 영하 20~30도의 혹한을, 그리 두꺼워 보이지 않는

                                  새하얀 나무 껍질 하나로 버틴다.

 

                                  종이처럼 얇은 껍질이 겹겹이 쌓여 있는데, 마치 하얀 가루가 묻어날

                                  것만 같다. 보온을 위하여 껍질을 겹겹으로 만들고 풍부한 기름 성분까지

                                  넣어 두었다. 살아 있는 나무의 근원인 부름켜(형성층)가 얼지 않도록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대비를 하고있는 셈이다, 나무에게는 생존의 설계일

                                  뿐이지만 사람들의 눈으로 보면 껍질은 쓰임새가 너무 많다.

                                  두께 0.1~0.2밀리미터 남짓한 흰 껍질은 매끄럽고 잘 벗겨지므로 종이를

                                  대신하여 불경을 새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쓰였다. 경주 천마총에서 나온

                                  천마도를 비롯하여 서조도(瑞鳥圖) 등은 자작나무 종류의 껍질에 그린 그림이다.

                                  영어 이름인 버취(Birch)의 어원은 ‘글을 쓰는 나무 껍데기’란 뜻이라고 한다.

                                  자작나무 껍질은 기름기가 많아 잘 썩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을 붙이면 잘 붙고

                                  오래간다. 불쏘시개로 부엌 한구석을 차지했으며, 탈 때 나는 자작자작 소리를

                                  듣고 자작나무란 이름을 붙였다 한다.  

 

                                  우리나라 강원도 인제의 원대리 자작나무숲도 유명 하지만 시베리아는 어딜가나

                                  자작나무가 지천이다, 사진속 자작나무숲 풍경은 러시아 이르쿠츠크주(州)에

                                  있는 탈치 목조민속 박물관 주변의 자작나무숲 풍경이다,

 

                                                                        2019, 7, 25, 촬영,

 

 

 

                                 자작나무 숲을 지나

                                                           - 허갑원 -

 

                                자작나무숲을 본다

                                자작나무 사람보다 많다

                                흰 치마 입고 머리 다듬은 처녀처럼

                                가을 바람에 흔들리며 서 있다

 

                                어디서나 흑맥주를 흔드는 사람들

                                지구의 반 바퀴를 돌아가는 길

                                왁자지껄 식당차엔 샴페인이 터지고

                                호기심 어린 러시안들

                                각양각색의 눈빛으로 삶의 원을 그린다

 

                                시계장수의 하루는 길다

                                그는 시베리아행 열차 안에서

                                새우잠을 잔다

                                군수품 시계 수많 개를 싣고

                                투맨에서 승차해 이틀밤 자고

                                크라이스트야로스코에서 내린

                                마흔여섯 살의 사나이

                                노란 자작나무 베리오자

                                하얀 눈의 스타아크

 

                                하늘을 가리키며 저다이스타를 가르처준

                                전직 비행기 조종사

                                영어보다 독일어가 유창하고

                                생생스, 파가니니,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을 위하여

                                아침부터 맥주를 마시며

                                하루에 샴페인을 다섯 번이나 터뜨리는 사람

                                사할린에서 헤어진 어떤 여인을 생각하며

                                우리모두를 울린 사나이

                                Kim, Kim, Kim,

 

                                지나가는 상인마다 불러세워

                                무엇이라도 사주려고 애쓰는 사람

                                달리는 기차무대 우리의 구걸 바이올린 콘서트에

                                시계 판돈 10불짜리 덥석 던저 놓고

                                라프시카

                                라프시카

                                너는 내 사랑이라

                                토끼처럼 귀엽고

                                다람쥐 꼬리처럼 아름답다,

 

                                바이칼 호수만한 가슴에

                                청회색 눈동자

                                마치 오래된 무슬림 사원처럼

                                경건하고 포근하며 따스하여라

 

                                라프시카, 라프시카,

                                그는 우리의 노래가 되고

                                그는 우리의 이름이 되고

                                잠못 이루는 바이칼의 밤을 이루었어라

                                체면도 격식도 필요 없어라

                                리본카

                                작은 물고기 같은 그대만 있으면 좋아라

 

                                시계 한 짐짝 철로가에 내려놓고

                                장미 두 송이를 흔드는 사람

                                그는 흔들리는 들창가의 과꽃 같은

                                리디아의 엘로 불루 리베

                                우란우데를 거처 사할린까지 우리를 따라온다,

 

                                그는 대륙의 가슴

                                시베리아의 팔뚝과 핏줄을 가진 사람

                                떨어진 낙엽만큼 마음을 주고 간 사람

                                그는 지금 어느곳에서 잠이 들었을까

 

                                하루에 열두 시간 일하고

                                공산주의자를 싫어 한다고

                                목에 칼을 대던 사람

                                일 년 후에 여권을 받으면

                                서울에 오겠다고

                                베리오자

                                베리오자

                                노란 자작나무숲 속으로 그는

                                산지기가되어 떠나고

 

                                우리의 가슴엔 그가 남았다

                                부활처럼

                                열정처럼

 

                                그는 우리에게 아무 것도 아끼지 않았다

                                무엇이든 주려 하였다

 

                                네개의 시계를 풀어

                                맥주 잔에 빠뜨리며

                                밤새도록 안주를 하라고

                                그 딱딱한 아리흐를 깟다

 

                                사랑이 하나의 움직임 이라면

                                그것은 황금이나 질그릇이나

                                가리지 않고 어떤 단지에서나

                                퍼 마실수 있는 물과 같다면

 

                                그것은 마약이나 최면처럼 다가와

                                우리의 마음에 평화와 질서와 아름다움

                                그리고 강렬함을 가저다 주었다

                                돌아오는 주머니 속에 가득한

                                이 작은 아리흐의 행복이여

 

                                사람들은 말한다

                                시계장수 어디나 있다고

                                그리고 내일은 더 좋은 일이 있을 거라고

                                그러나 우리는 안다

                                시계장수는 더 없고

                                더 좋은 일도 내일은 없다는 것을,

 

                                         - 이하 중략 -

 

                                허갑원 시인은 한 20년전쯤 내가 관계하던 성음오디오음악클럽에서 만나

                                음악활동을 함께 했었다,

                                내가 참여하는 사진전시회 오픈식에 참석해 그의 시 "낙엽 위에 누우면" 을

                                낭송해 주기도 했다,

                                어느날 짧은 음악서클 활동을 뒤로하고 그는 어디론가 사라저 지금은

                                그의 행적을 알길이 없다,

                                허시인은 20여년전 이미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바이칼 여행을 하고

                                이 시를 쓴것으로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