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경사진

고흥 작약꽃밭

by *상록수 2025. 5. 20.

 


고흥 작약 꽃밭

 

주 소 / 전남 고흥군 영남면 해맞이로 1175

지번주소 /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14-2

 

전남 고흥 해맞이로에 있는 종교시설 '생명샘마음치유의집' 앞

바다에 면한 작약꽃밭 풍경이다,

 

고흥 작약꽃밭으로 가는 길은 대한민국 최고의 해상 드라이브 코스였다,

여수를 출발하여 조발도, 둔병도, 낭도, 적금도 등, 4개의 섬과

화양조발대교, 둔병대교, 낭도대교, 적금대교, 팔영대교 등, 5개의

섬과 섬을 연결하는 다리를 건너 고흥군에 도착하여 비로서 작약꽃을

볼수 있었다,

 

'함박꽃' 이란 이름으로 우리에게 더 친숙한 작약(芍藥)은

붉은색과 하얀색 작약이 활작피면 함박 웃음을 짖는것처럼 보여

'함박꽃'이라 부른다.

 

작약은 중국이름 작약(芍藥) 에서 유래 하였으며 중국 에서는 진나라,

명나라 시대에 이미 관상용으로 재배되어 재배 역사는 모란보다 더

오래 되었다.

 

작약의 종류는 홍약(紅藥), 적약(赤藥), 백약(白藥)등 있다.

모란과 작약의 다른점은 모란은 다년생으로 나무에서 새싹이 나와

꽃이 피고 작약은 일년생 풀로서 봄이되면 새 싹이 돋아 꽃을 피운다.

작약은 5~6월경 꽃이 피고 9월에 열매가 익는다.

 

전해저오는 전설에 따르면 아주 먼 옛날에 페온 이라는 공주가 이웃

나라의 왕자와 사랑에 빠지게 되었는데 왕자는 전쟁터에 나가야만 했다.

내가 돌아오는 그날까지 기다려주오 ~, 이 말 한마디를 남기고 왕자는

전쟁터로 떠났고 공주는 늘 기도하는 마음으로 왕자를 기다렸다.

 

전쟁이 끝나고 다른 사람들은 다 돌아 왔지만 왕자는 돌아오지 않았다.

사람들은 왕자가 전사 했다고 믿었다. 그러나 공주는 왕자가 반드시

돌아올것이라 믿고 기다렷다. 여러해가 지난 어느날 대문앞에서 아주

구슬픈 노래소리가 들려왔다. 눈먼 장님 악사가 노래를 하고 있었다,

 

공주는 무심코 그 노래소리에 귀를 기울엿다.

장님은 " 왕자가 공주를 그리워 하다가 죽어서 모란꽃이 되었다네

그리고 머나먼 이국 땅에서 슬프게 살고 있다네 " 그런 내용의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공주는 그날로 물어물어 그 노래속의 나라를 찾아갔다. 과연 거기에

고운 모란꽃이 화사하게 피어 있었다. 공주는 그 모란꽃 옆에서 열심히

정성껏 기도를 올렸다. "다시는 사랑하는 왕자님 곁을 떠나지 않게 해 주소서 ~"

공주의 극진한 정성은 신을 감동시켰고 결국 공주는 모란꽃 옆에서 탐스럽고

예쁜 작약으로 피어났다.  작약의 꽃말은 부끄럼, 수줍음,.~~

 

2025, 5, 19, 촬영,

 

 

 

 

 

 

 

 

 

 

 

 

 

 

 

 

 

 

 

 

종교시설 생명샘마음치유의집 & 작약꽃밭

 

 

종교시설 생명샘마음치유의집

 

 

 

'풍경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수 거북선대교 & 하멜등대  (1) 2025.05.24
마이산  (0) 2025.05.23
적목용소  (0) 2025.05.07
호랑이가 지키는 소나무  (0) 2025.05.06
가평 용소폭포의 봄  (0) 2025.05.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