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동물466

참수리 사냥 -2 참수리 사냥 -2 참수리는 흰꼬리수리속 조류중에서 가장적은 개체수로존재하는 희귀조류이다, 참수리는 암컷기준 몸길이 81~105cm,날개길이 1,95~2,5m, 체중 6~9kg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의 2/3크기이다, 흔히 Eagle 이라고 불리는 수리류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이다,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볼수있는 철새로 주로 해안이나 강 하구에서식한다, 한국에서 볼수있는 맹금류중 독수리 다음으로 큰 종이다,천연기념물 제 243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1급이다, 요즈음 팔당에는 참수리의 사냥모습을 촬영하려 전국에서 모여든조류사진가 30-50여명이 매일 어둠내린 이른새벽부터 진을치고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참수리는 하루에 1번 또는 많게는 2번 정도 사냥을하고 통상나무가지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 2024. 12. 21.
겨울 손님 팔당 고니 -5 겨울 손님 팔당 고니 -5 팔당에서 촬영한 고니의 비상 모습이다,'고니'는 '백조' 라고도 부르며 두루미와 함께 대표적인겨울 철새로 수도권에서는 한강의 팔당, 양수리, 경안천 부근그리고 멀리로는 낙동강 하구, 을숙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러날아온다, 러시아 캄차카에서 여름을 난 고니는 9월초 몽골을 거처남하하기 시작하여 10월에는 중국, 11월초 북한 대동강을 거처한강의 팔당, 양수리, 경안천, 그리고 금강과 낙동강하구에서월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4, 11, 29, 촬영, 2024. 12. 21.
참수리 사냥 -1 참수리 사냥 -1 참수리는 흰꼬리수리속 조류중에서 가장적은 개체수로존재하는 희귀조류이다, 참수리는 암컷기준 몸길이 81~105cm,날개길이 1,95~2,5m, 체중 6~9kg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의 2/3크기이다, 흔히 Eagle 이라고 불리는 수리류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이다,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볼수있는 철새로 주로 해안이나 강 하구에서식한다, 한국에서 볼수있는 맹금류중 독수리 다음으로 큰 종이다,천연기념물 제 243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1급이다, 요즈음 팔당에는 참수리의 사냥모습을 촬영하려 전국에서 모여든조류사진가 30-50여명이 매일 어둠내린 이른새벽부터 진을치고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참수리는 하루에 1번 또는 많게는 2번 정도 사냥을하고 통상나무가지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 2024. 12. 19.
참수리 사냥 실패와 성공 참수리 사냥 실패와 성공 참수리는 흰꼬리수리속 조류중에서 가장적은 개체수로존재하는 희귀조류이다, 참수리는 암컷기준 몸길이 81~105cm,날개길이 1,95~2,5m, 체중 6~9kg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의 2/3크기이다, 흔히 Eagle 이라고 불리는 수리류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이다,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볼수있는 철새로 주로 해안이나 강 하구에서식한다, 한국에서 볼수있는 맹금류중 독수리 다음으로 큰 종이다,천연기념물 제 243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1급이다, 요즈음 팔당에는 참수리의 사냥모습을 촬영하려 전국에서 모여든조류사진가 30-50여명이 매일 어둠내린 이른새벽부터 진을치고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참수리는 하루에 1번 또는 많게는 2번 정도 사냥을하고 통상나무가지에 앉아서 휴식을 취.. 2024. 12. 18.
팔당은 고니의 낙원 -7 팔당은 고니의 낙원 -7 요즈음 팔당호는 고니의 낙원으로 100~200여 마리의 고니들이가족단위로 이리저리 흩어저 휴식을 취하거나 가벼운 워밍업을햐면서 월동준비를 하고 있다, 고니들은 멀고 먼 하늘길을 날아 팔당까지 찾아온것이다,일부는 팔당을 거처 창원 주남저수지나 낙동강하구까지 날아간다, 2020, 11, 24,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위치 추적장치를 부착해경남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겨울을 보내는 큰고니의 이동경로를확인 했다고 밝힌바 있다, 연구소측은 고니가 평균시속 51km로 비행, 왕복 8,265km를 비행했다밝혔다, 주남저수지를 떠나 북한 - 중국 단동 - 내몽골 - 러시아예벤키스키군 습지 - 러시아 - 내몽골 - 주남저수지로 돌아왔다 라고 밝혔다, 위 연구는 번식지로 돌아간 큰 고니가 겨울을 나기위해 .. 2024. 12. 17.
팔당에서 만난 참수리 & 겨울 철새들 팔당에서 만난 참수리 & 겨울 철새들 팔당에서 고니가 날기를 기다리던중 우연히 멀리 날아가는참수리를 금년 겨울 처음으로 만났다, 어찌나 반갑고 가슴이설레이던지,, 그리고 잠시후 하늘을 선회비행하는 말똥가리도 만났다,오전중 고니학교 옆 자전거도로에서 촬영을 하고 오후에는자리를 옮겨 성곽 위쪽 불닭집 앞에서 참수리를 기다렸으나참수리는 만나지 못하고 대신 딱새와 직박구리를 만났다, 오늘 팔당은 영하 10도C에 찬바람이 솔솔불어 추운 날씨였으나다양한 겨울 철새들를 만나 추위도 잊고 기분좋은 하루였다, 2024, 12, 14, 촬영,   참수리    말똥가리    딱새    직박구리    고니(백조) 2024. 12. 16.
팔당은 고니의 낙원 -6 팔당은 고니의 낙원 -6 '존 밀턴'(John Milton)의 '실락원'(Paradise Lost)은 구약성서의 창세기를소재로 아담과 이브의 타락과 낙원추방을 묘사한 12권으로 구성된 장편서사시이다, '실락원' 은 우리말로 쉽게 풀이하면 '잃어버린 낙원' 이다,'실락원'은 에덴동산에서 평화로운 생활을 하고 있는 아담과 이브의이야기이다, 그들은 하나님이 정해준 규칙을 따르며 행복하게 살고 있었으나사탄의 유혹을 받아 금지된 열매를 먹게된다, 이 선택은 그들의 일상의 삶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하나님은 그들을에덴동산에서 쫏아내고 인간의 죄와 죽음을 경험하게 된다,  저자 '존 밀턴'은 이 작품을 통해 인간의 어떤 순간의 선택이 얼마나중요한가를 상기시켜 주고있다, 2017년 영화 '콜럼버스'(Columbu.. 2024. 12. 15.
팔당은 고니의 낙원 -5 팔당은 고니의 낙원 -5 요즈음 팔당호는 고니의 낙원으로 100~200여 마리의 고니들이가족단위로 이리저리 흩어저 휴식을 취하거나 가벼운 워밍업을햐면서 월동준비를 하고 있다, 고니들은 멀고 먼 하늘길을 날아 팔당까지 찾아온것이다,일부는 팔당을 거처 창원 주남저수지나 낙동강하구까지 날아간다, 2020, 11, 24,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위치 추적장치를 부착해경남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겨울을 보내는 큰고니의 이동경로를확인 했다고 밝힌바 있다, 연구소측은 고니가 평균시속 51km로 비행, 왕복 8,265km를 비행했다밝혔다, 주남저수지를 떠나 북한 - 중국 단동 - 내몽골 - 러시아예벤키스키군 습지 - 러시아 - 내몽골 - 주남저수지로 돌아왔다 라고 밝혔다, 위 연구는 번식지로 돌아간 큰 고니가 겨울을 나기위해 .. 2024. 12. 14.
철원평야를 찾아온 단정학 철원평야를 찾아온 단정학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민통선 부근 철새조망 컨테이너 에서촬영한 단정학 모습이다, 북한에서 확성기를 통해 방송하는괴성같은 방송음이 들려왔다, 철새조망 컨테이너 앞에는 개천이 흐르고 개천 하상을 두둑하게성토를 하여 두루미들이 쉴수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그곳에정기적으로 먹이를 살포해 두루미를 이곳으로 유도해 조망콘테이너에서두루미나 겨울 철새들 촬영을 하거나 탐조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요즈음 눈이 내리지 않아 철원 들판이 그대로 노출되어 추수한후낙곡들이 들판에 많이 떨어저있어 먹을거리가 풍부해 철새들이 이곳으로모여 들지않고 있어 철새조망 콘테이너에서 사실상 촬영거리가 신통치않은것이 요즈음 현실이다, 눈이 내려 들판이 눈으로 덮혀 먹거리 찾기가쉽지 않아지면 철새들을 철새조망 컨테이.. 2024. 12. 14.
팔당 고니 먹이 사료 주던날 팔당 고니 먹이 사료 주던날 요즈음 팔당에는 약 200여 마리의 고니들이 휴식을취하며 월동을 하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조사 발표에 따르면 고니들은러시아 예벤키스키군습지를 출발해 시속 약 50km속도로비행하여 내몽골 - 대동강을 거치는 약 4,000km 장거리를비행하여 이곳 팔당에 도착한것으로 추정된다, 고니 탐조객들이나 사진가들은 고니가 훨훨 하늘로 날아주기를 바라지만  고니들은 좀처럼 잘 날아 주지 않는다, 오늘도 고니가 날기를 이른 새벽부터 하염없이 기다리며무료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렇게 지루한 시간을 보내던중 오후 12;40경 4명의자원봉사자들이 무거운 사료 자루를 들고 찾아왔다,고니들은 벌써 먹이 사료를 갖어온것을 알아 차리고고니 특유의 괴성을 지르며 환호하기 시작했다, 멀리에 있던 .. 2024. 12. 13.
팔당은 고니의 낙원 -4 팔당은 고니의 낙원 -4 요즈음 팔당호는 고니의 낙원으로 100~200여 마리의 고니들이가족단위로 이리저리 흩어저 휴식을 취하거나 가벼운 워밍업을햐면서 월동준비를 하고 있다, 고니들은 멀고 먼 하늘길을 날아 팔당까지 찾아온것이다,일부는 팔당을 거처 창원 주남저수지나 낙동강하구까지 날아간다, 2020, 11, 24,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위치 추적장치를 부착해경남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겨울을 보내는 큰고니의 이동경로를확인 했다고 밝힌바 있다, 연구소측은 고니가 평균시속 51km로 비행, 왕복 8,265km를 비행했다밝혔다, 주남저수지를 떠나 북한 - 중국 단동 - 내몽골 - 러시아예벤키스키군 습지 - 러시아 - 내몽골 - 주남저수지로 돌아왔다 라고 밝혔다, 위 연구는 번식지로 돌아간 큰 고니가 겨울을 나기위해 .. 2024. 12. 12.
팔당은 고니의 낙원 -3 팔당은 고니의 낙원 -3 팔당호가 고니들의 낙원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젊은날 읽었던 '존 밀턴'의'실락원'을 떠'올려본다, '존 밀턴'(John Milton)의 '실락원'(Paradise Lost)은 구약성서의 창세기를소재로 아담과 이브의 타락과 낙원추방을 묘사한 12권으로 구성된 장편서사시이다, '실락원' 은 우리말로 쉽게 풀이하면 '잃어버린 낙원' 이다,'실락원'은 에덴동산에서 평화로운 생활을 하고 있는 아담과 이브의이야기이다, 그들은 하나님이 정해준 규칙을 따르며 행복하게 살고 있었으나사탄의 유혹을 받아 금지된 열매를 먹게된다, 이 선택은 그들의 일상의 삶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하나님은 그들을에덴동산에서 쫏아내고 인간의 죄와 죽음을 경험하게 된다,  사탄은 천국에서 하나님의 권위에 도전하다가 .. 2024. 12. 11.
팔당은 고니의 낙원 -2 팔당은 고니의 낙원 -2 팔당호가 고니들의 낙원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젊은날 읽었던 '존 밀턴'의'실락원'을 떠'올려본다, '존 밀턴'(John Milton)의 '실락원'(Paradise Lost)은 구약성서의 창세기를소재로 아담과 이브의 타락과 낙원추방을 묘사한 12권으로 구성된 장편서사시이다, '실락원' 은 우리말로 쉽게 풀이하면 '잃어버린 낙원' 이다,'실락원'은 에덴동산에서 평화로운 생활을 하고 있는 아담과 이브의이야기이다, 그들은 하나님이 정해준 규칙을 따르며 행복하게 살고 있었으나사탄의 유혹을 받아 금지된 열매를 먹게된다, 이 선택은 그들의 일상의 삶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하나님은 그들을에덴동산에서 쫏아내고 인간의 죄와 죽음을 경험하게 된다,  사탄은 천국에서 하나님의 권위에 도전하다가 .. 2024. 12. 10.
팔당은 고니의 낙원 -1 팔당은 고니의 낙원 -1 고니들이 추운 겨울철을 보내기에는 팔당은 낙원이요,천국이라 생각 한다, 팔당대교 아래쪽은 강폭이 넓고중간 중간 섬이 있어 유속을 완화시켜주며 수심이 낮아고니들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두루두루 갖추고 있다, 유속이 빠르고 수심이 깊으면 고니들의 서식 환경에 적합하지않다,  팔당호 주변에는 연 뿌리나 수초의 뿌리등, 고니 먹이로적당한 식재료를 쉽게 얻을수 있는 장점까지 갖추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드물게 팔당은 고니가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있고 매년 겨울 약 500여 마리 정도의 고니가 이곳을 찾아오고있다,일본 북해도 쿠시로 처럼 고니 서식환경을 잘 관리해 준다하면팔당은 세계 최고의 고니 탐조 관광지가 될수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니의 먹이를 지속적으로 주어야하고 정해진관리인.. 2024. 12. 9.
고니의 일상 고니의 일상 '고니'는 '백조' 라고도 부르며 두루미와 함께 대표적인 겨울 철새로수도권에서는 한강의 팔당, 양수리, 경안천 부근 그리고 멀리로는낙동강 하구, 을숙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러 날아온다, 러시아 캄차카에서 여름을 난 고니는 9월초 몽골을 거처남하하기 시작하여 10월에는 중국, 11월초 북한 대동강을 거처한강의 팔당, 양수리, 경안천, 그리고 금강과 낙동강하구에서월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겨울이 오면 북유럽의 눈덮힌 설산과 긴 겨울이 떠오른다핀란드의 위대한 작곡가 "시벨리우스",, 는 교향시 "나의조국" 중"핀란디아" 작곡자로 잘 알려저 있지만 시벨리우스는 북구의서정에 어울리는 를 남겼다, "투우넬라의 백조" op, 22 - 2는 핀란드의 정서와 풍광을음악으로 잘 그려낸 작품이다,핀란드의 .. 2024.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