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대제 어가행렬
사직대제 어가행렬 일시 / 2022, 9, 24,(토) 10;30 - 11;10 장 소 / 창덕궁 돈화문 앞 ~ 시직단 가을이 깊어가는 9월의 마지막 주말 하늘은 잉크빛으로 푸르고 덥지도 춥지도 않은 초가을날 서울에서는 어가행렬과 사직대제가 있어 다녀 왔다, 국가무형문화재 사직대제는 국가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로 농업을 중시하고 백성들을 사랑했던 선조들의 얼이 깃든 국가적인 중요 행사인데 사직대제에 앞서 어가행렬이 있었다, 어가행렬은 왕의 권위를 백성에게 보이고 백성을 사랑하는 왕의 마음이 담긴 왕과 백성이 하나가되는 국가적인 큰 행사로 왕 뒤에는 조정의 문무백관들이 뒤를 따랐다, 2022, 9, 24, 촬영, 창덕궁 돈화문 앞 어가행렬 출발 사작단 어가행렬 도착
2022. 9. 25.
정릉 신덕고황후 강씨 제향 이모저모
신덕고황후 강씨 제향 이모저모 1, 일 시 / 2022, 9, 23,(금) 11;30 2, 장 소 / 세계유산 조선왕릉 정릉 / 貞陵(서울 성북구) 국가지정문화재 / 사적 제208호 3, 주 관 /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4, 주 최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5, 섭행단체 / 정릉봉향회(세종대왕 제5왕자 전주이씨 광평대군파종회) 정릉은 조선 제1대 태조의 계후 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다, 신덕고왕후는 상산부원군 강윤성의 딸로 태조의 계후이다, 제향이 있던날 해맑은 전형적인 가을 하늘이 펼처젔으나 제향을 올리던 12시경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와 어두컴컴해 지더니 소나기가 한 30여분 앞이 보이지않을 정도로 내리는 변덕스러운 날씨였다, 신덕왕후의 가문은 고려의 권문세가로 태조 이성계가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정치 ..
2022. 9. 25.
정릉 신덕고황후 강씨 제향
제 626 주기 태조고황제 계후 신덕고황후 강씨 제향 1, 일 시 / 2022, 9, 23,(금) 11;30 2, 장 소 / 세계유산 조선왕릉 정릉 / 貞陵(서울 성북구) 국가지정문화재 / 사적 제208호 3, 주 관 /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4, 주 최 / 문화재청 5, 섭행단체 / 정릉봉향회(세종대왕 제5왕자 광평대군파종회) 정릉은 조선 제1대 태조의 계후 신덕고황후 강씨의 능, 신덕고황후는 상산부원군 강윤성의 딸로 태조의 계후이다, 제향이 있던날 해맑은 전형적인 가을 하늘이 펼처젔으나 제향을 올리던 12시경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와 어두컴컴해 지더니 소나기가 한 30여분 앞이 보이지않을 정도로 내리는 변덕스러운 날씨였다, 신덕왕후의 가문은 고려의 권문세가로 태조 이성계가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정치 영..
2022. 9. 23.
논산 돈암서원 배롱나무꽃
논산 돈암서원 배롱나무꽃 돈암서원, 遯巖書院,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 등재 (2019년) 사적 제 383호, 건립시기 1634년, 면적 5,590m2,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연산면 임3길 26-14 충남 논산시 연산면 임리 74 배롱나무꽃 풍경이 아름다운 곳을 들라면 많은곳을 떠 올리게 되지만 논산의 돈암서원을 들지 않을수 없다, 돈암서원은 1634년(인조12년) 김장생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1659년(효종 10)에는 김집, 1688년(숙종 14년) 송준길, 1695년에는 송시열을 각각 추가 배향하여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향토서원이다, 당시에는 현재의 연산면 임리(숲말)에 소재 하였는데 서원 서북쪽에 "돈암" 이란 큰 바위가 있어 서원의 이름을 "돈암..
2022.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