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꼬리수리의 사냥
흰꼬리수리의 사냥 철원 이길리 콘테이너 두루미 관찰소에서 두루미를 촬영하던중건너편 산에서 날아온듯한 흰꼬리수리 성조를 만났다, 흰꼬리수리는 개울 상공을 한 두바퀴 선회비행하더니 몸에 부상을입은듯 몸상태가 성치않아 보이는 새매유조를 발견하고 사냥을 하였다,순간 근처에 있던 까마귀 몇 마리가 접근하여 사냥 방해를 놓는 바람에사냥한 노획물을 발톱으로 제대로 웅켜잡지 못한채 자리를 떴다, 흰꼬리수리가 두루미들이 모여있는 바로 앞 개울에 내려앉자 두루미들이일제히 목을 고추세우고 특유의 경계음을 내며 흰꼬리 수리쪽을 응시하며경계태세에 돌입하였다, 그러나 서로 먼저 공격할 의사는 없어 보였다,잠시후 흰꼬리수리 유조 3마리가 어디선가 나타나 흰꼬리수리 성조와합류하여 개울가에 내려 앉았다, 2024, 12, 24, 촬영,
2024. 12. 26.
동박새
동박새 한국과 일본, 동남아시아에서 서식하는 참새목 동박새과의새의 일종이다, 몸 길이는 11,5cm이며 박새보다 약간 작은새이다, 몸의 윗면은노란빛을 띤 녹색이고 아렛면은 흰색이다, 눈에는 하얀 띠가둘러저 있고 새 중에서는 작은편이다, 한국에서는 일년내내지내는 텃새이다, 2024, 12, 22, 촬영,
2024. 12. 23.
2024년 종암포토클럽 송년회
2024년 종암포토클럽 송년회 1, 일 시 / 2024, 12, 23,(월) 12;002, 장 소 / 길음동 이상갈비 돈암점3, 참석 / 회원 14명 종암포토클럽 2024년 송년회를 길음동 이상갈비에서회원 14명이 참석한 가온데 화기애애한 분위기속에서 갖었다,새해에는 더욱 화합하는 모습으로 정기적인 모임을 갖기로 하였다, 2024, 12, 23, 촬영,
2024. 12. 23.
참수리 사냥 -2
참수리 사냥 -2 참수리는 흰꼬리수리속 조류중에서 가장적은 개체수로존재하는 희귀조류이다, 참수리는 암컷기준 몸길이 81~105cm,날개길이 1,95~2,5m, 체중 6~9kg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의 2/3크기이다, 흔히 Eagle 이라고 불리는 수리류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이다,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볼수있는 철새로 주로 해안이나 강 하구에서식한다, 한국에서 볼수있는 맹금류중 독수리 다음으로 큰 종이다,천연기념물 제 243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1급이다, 요즈음 팔당에는 참수리의 사냥모습을 촬영하려 전국에서 모여든조류사진가 30-50여명이 매일 어둠내린 이른새벽부터 진을치고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참수리는 하루에 1번 또는 많게는 2번 정도 사냥을하고 통상나무가지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
2024. 12. 21.
겨울 손님 팔당 고니 -5
겨울 손님 팔당 고니 -5 팔당에서 촬영한 고니의 비상 모습이다,'고니'는 '백조' 라고도 부르며 두루미와 함께 대표적인겨울 철새로 수도권에서는 한강의 팔당, 양수리, 경안천 부근그리고 멀리로는 낙동강 하구, 을숙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러날아온다, 러시아 캄차카에서 여름을 난 고니는 9월초 몽골을 거처남하하기 시작하여 10월에는 중국, 11월초 북한 대동강을 거처한강의 팔당, 양수리, 경안천, 그리고 금강과 낙동강하구에서월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4, 11, 29, 촬영,
2024. 12. 21.
참수리 사냥 -1
참수리 사냥 -1 참수리는 흰꼬리수리속 조류중에서 가장적은 개체수로존재하는 희귀조류이다, 참수리는 암컷기준 몸길이 81~105cm,날개길이 1,95~2,5m, 체중 6~9kg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의 2/3크기이다, 흔히 Eagle 이라고 불리는 수리류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이다,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볼수있는 철새로 주로 해안이나 강 하구에서식한다, 한국에서 볼수있는 맹금류중 독수리 다음으로 큰 종이다,천연기념물 제 243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1급이다, 요즈음 팔당에는 참수리의 사냥모습을 촬영하려 전국에서 모여든조류사진가 30-50여명이 매일 어둠내린 이른새벽부터 진을치고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참수리는 하루에 1번 또는 많게는 2번 정도 사냥을하고 통상나무가지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
2024. 12. 19.
참수리 사냥 실패와 성공
참수리 사냥 실패와 성공 참수리는 흰꼬리수리속 조류중에서 가장적은 개체수로존재하는 희귀조류이다, 참수리는 암컷기준 몸길이 81~105cm,날개길이 1,95~2,5m, 체중 6~9kg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의 2/3크기이다, 흔히 Eagle 이라고 불리는 수리류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이다,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볼수있는 철새로 주로 해안이나 강 하구에서식한다, 한국에서 볼수있는 맹금류중 독수리 다음으로 큰 종이다,천연기념물 제 243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1급이다, 요즈음 팔당에는 참수리의 사냥모습을 촬영하려 전국에서 모여든조류사진가 30-50여명이 매일 어둠내린 이른새벽부터 진을치고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참수리는 하루에 1번 또는 많게는 2번 정도 사냥을하고 통상나무가지에 앉아서 휴식을 취..
2024. 12. 18.
팔당은 고니의 낙원 -7
팔당은 고니의 낙원 -7 요즈음 팔당호는 고니의 낙원으로 100~200여 마리의 고니들이가족단위로 이리저리 흩어저 휴식을 취하거나 가벼운 워밍업을햐면서 월동준비를 하고 있다, 고니들은 멀고 먼 하늘길을 날아 팔당까지 찾아온것이다,일부는 팔당을 거처 창원 주남저수지나 낙동강하구까지 날아간다, 2020, 11, 24,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위치 추적장치를 부착해경남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겨울을 보내는 큰고니의 이동경로를확인 했다고 밝힌바 있다, 연구소측은 고니가 평균시속 51km로 비행, 왕복 8,265km를 비행했다밝혔다, 주남저수지를 떠나 북한 - 중국 단동 - 내몽골 - 러시아예벤키스키군 습지 - 러시아 - 내몽골 - 주남저수지로 돌아왔다 라고 밝혔다, 위 연구는 번식지로 돌아간 큰 고니가 겨울을 나기위해 ..
2024. 12. 17.
팔당에서 만난 참수리 & 겨울 철새들
팔당에서 만난 참수리 & 겨울 철새들 팔당에서 고니가 날기를 기다리던중 우연히 멀리 날아가는참수리를 금년 겨울 처음으로 만났다, 어찌나 반갑고 가슴이설레이던지,, 그리고 잠시후 하늘을 선회비행하는 말똥가리도 만났다,오전중 고니학교 옆 자전거도로에서 촬영을 하고 오후에는자리를 옮겨 성곽 위쪽 불닭집 앞에서 참수리를 기다렸으나참수리는 만나지 못하고 대신 딱새와 직박구리를 만났다, 오늘 팔당은 영하 10도C에 찬바람이 솔솔불어 추운 날씨였으나다양한 겨울 철새들를 만나 추위도 잊고 기분좋은 하루였다, 2024, 12, 14, 촬영, 참수리 말똥가리 딱새 직박구리 고니(백조)
2024. 12. 16.
팔당은 고니의 낙원 -5
팔당은 고니의 낙원 -5 요즈음 팔당호는 고니의 낙원으로 100~200여 마리의 고니들이가족단위로 이리저리 흩어저 휴식을 취하거나 가벼운 워밍업을햐면서 월동준비를 하고 있다, 고니들은 멀고 먼 하늘길을 날아 팔당까지 찾아온것이다,일부는 팔당을 거처 창원 주남저수지나 낙동강하구까지 날아간다, 2020, 11, 24,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위치 추적장치를 부착해경남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겨울을 보내는 큰고니의 이동경로를확인 했다고 밝힌바 있다, 연구소측은 고니가 평균시속 51km로 비행, 왕복 8,265km를 비행했다밝혔다, 주남저수지를 떠나 북한 - 중국 단동 - 내몽골 - 러시아예벤키스키군 습지 - 러시아 - 내몽골 - 주남저수지로 돌아왔다 라고 밝혔다, 위 연구는 번식지로 돌아간 큰 고니가 겨울을 나기위해 ..
2024. 12. 14.
팔당은 고니의 낙원 -4
팔당은 고니의 낙원 -4 요즈음 팔당호는 고니의 낙원으로 100~200여 마리의 고니들이가족단위로 이리저리 흩어저 휴식을 취하거나 가벼운 워밍업을햐면서 월동준비를 하고 있다, 고니들은 멀고 먼 하늘길을 날아 팔당까지 찾아온것이다,일부는 팔당을 거처 창원 주남저수지나 낙동강하구까지 날아간다, 2020, 11, 24,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위치 추적장치를 부착해경남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겨울을 보내는 큰고니의 이동경로를확인 했다고 밝힌바 있다, 연구소측은 고니가 평균시속 51km로 비행, 왕복 8,265km를 비행했다밝혔다, 주남저수지를 떠나 북한 - 중국 단동 - 내몽골 - 러시아예벤키스키군 습지 - 러시아 - 내몽골 - 주남저수지로 돌아왔다 라고 밝혔다, 위 연구는 번식지로 돌아간 큰 고니가 겨울을 나기위해 ..
2024. 12. 12.